소프트웨어 응용

    [Social Network] Networks - 네트워크

    💡 Networks의 구조 우리는 흔히 네트워크가 아래와 같이 생겼다고 상상한다. 위 그림을 증명하기 위해 우선 Granovetter's Explanation을 보자. 💡 Granovetter's Explanation Granovetter는 누군가 취업을 할 때 정보를 얻는다면, 친한 사이에서 얻는 것이 아닌 그냥 아는 사이에서 얻는다고 했다. 🔍 왜? 친구 관계로서 두가지 관점이 있다. 1. Structural : 구조상 친구간 범위는 네트워크의 다른 범위일 것이다. 2. Interpersonal : 대인관계로 따져보면 두 사람간에 강한 관계(Strong tie)이거나 약한 관계(Weark tie)중 하나일 것이다. 위를 통해 Granovetter's Explanation는 아래 두가지로 경우로 나눌 ..

    [Social Network] Strongly Connected Component (강결합)

    🧐Social Network Analysis 💡 강결합 (Strongly Connected)? 방향성 그래프일 때 어떠한 노드라도 다른 노드로 가는 길이 존재 약결합은 방향성 없는 그래프일 때 다른 노드로 가는 길이 존재하면 된다. 💡 강결합 컴포넌트 (Strongly Connected Component) 란 ? 모든 노드의 쌍은 서로 연결돼 있다. 위 특성과 함께 더 큰 SCC는 존재하지 않는다. 아래 그림에서의 강결합 컴포넌트 = {A,B,C,G} , {E}, {F}, {D} 모든 강결합 컴포넌트 간의 간선을 이으면 DAG(Directed Acyclic Graph)가 된다. 🔍 Proof by contradiction(수학적 귀류법)을 이용한 증명 증명 1. 강결합 컴포넌트간을 이은 G'가 두개(S,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