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socket

[Spring Websocket] In Memory Broker vs External Broker
🔍 Message Broker란? Publisher로부터 전달받은 메세지를 Subscriber로 전달해줄 때 중간에서 메세지를 주고 받게 해주는 중간 역할 🔍 In Memory Broker란? Spring websocket에서 STOMP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웹소켓 기능을 구현할 때 STOMP는 Message Broker가 필요하다. 이 때 아무 설정 없이 Spring 환경에서 STOMP 프로토콜을 사용한다면 메세지 브로커로 In Memory Broker를 사용하게 된다. 그렇다면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 때 In Memory Broker를 메세지 브로커로 사용해도 상관 없을까? 상관있다... 아래를 보면, In Memory 브로커의 단점들이 존재한다. 세션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가 제한되어 있다. 장애 발생..

[WebRTC] Signaling Server ( 시그널링 서버 )
WebRTC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봤는데 WebRTC를 유기적으로 잘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은 서버가 필요하다. Signaling - Always needed NAT Traversal - need for production Media - depends on the app 이번 포스트는 Signaling Server에 대해 다뤄볼 것이다. 😃 Signaling Server란? 이전 글에서 알 수 있듯이 WebRTC란 사용자 간의 P2P Connection을 통해 Object를 교환하는 방식이다. 그런데 그냥 P2P Connection만 존재하면 다 통신이 가능해지는 것일까???? 물론 아니다! 우리는 상대방과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상대방(보낼 주체)이 누구인지를 먼저 파악해야 한다. 이를 위해 Sign..